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5월은 ‘종합소득세 신고의 달’입니다.
특히 프리랜서, 개인사업자, 부업이 있는 직장인이라면
종합소득세 신고기간을 놓치면 가산세 폭탄 맞을 수 있습니다.
지금부터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일정, 신청방법, 주의사항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.
✅ 종합소득세 정의 누가 신고해야 하나요?
종합소득세는 1년 동안 벌어들인 소득(근로 외 소득)을 한 번에 신고하는 세금입니다.
📌 신고 대상 예시
- 프리랜서, 작가, 유튜버
- 부동산 임대 소득자
- 근로소득 + 사업소득 함께 있는 직장인
- 1인 마켓, 블로그 수익, 쿠팡 파트너스 수익자 등
놓치기 쉬운 팁
단순히 소득이 적어도 신고 의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국세청 ‘신고 안내 문자’가 없어도 대상일 수 있으니 확인 필수입니다.
📅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기간
- 신고기간: 2025년 5월 1일(목) ~ 5월 31일(토)
- 납부기한: 신고 마감일과 동일
- 추가신고 가능여부: 기한 후 신고 가능하지만 최대 40% 가산세
⚠️ 무신고 가산세: 20%
⚠️ 납부불이행 가산세: 3% + 연 10.95% 이자
세금은 신고만 해도 감면이 됩니다. 무조건 신고 먼저 하세요.
🖥️ 종합소득세 홈택스 신청방법
PC → 홈택스 / 모바일 → 손택스 둘 다 가능하며, 자동 계산 기능이 있습니다.
🔸 홈택스 신고방법
- 홈택스 접속하기
- 공동인증서 or 간편 인증 로그인
- ‘종합소득세 신고’ 메뉴 클릭
- 소득 자동 불러오기 → 경비 및 공제 입력
- 결과 확인 → 제출
홈택스 신고 시 경비율 적용도 자동 제안됩니다.
🔸 손택스 간편신고
- 손택스 앱 설치
- ‘종합소득세 간편신고’ 클릭
- 자동 불러오기 후 바로 제출 가능
⚠️ 4. 종합소득세 신고 시 주의사항 BEST 5
- 공제 누락 → 환급 못 받음
- 불필요한 소득 포함 → 세금 과다
- 경비율 적용 실수 → 장부 미작성자 주의
- 중복 신고 (근로소득 이미 연말정산됨에도 불필요한 입력)
- 주소지 기준 신고 오류 → 공동사업자일 때 특히 주의
📌 홈택스에 자동 반영되는 공제 항목 외에도 추가로 입력할 수 있는 항목이 있습니다.
👉 예: 교육비, 의료비, 기부금 등
💰 5. 종합소득세 미신고 시 벌어지는 일들
- 최대 40%의 가산세
- 국세청 세무조사 대상 포함 가능성
- 향후 대출, 신용조회, 국가지원금 수급에 불이익
📌 주의: 신고만 하고 세금은 못 내더라도 무신고보다 낫습니다.
📎 6. 유용한 링크 모음
필수 링크는 모두 모아두었습니다. 즐겨찾기 해두세요.
✅ 마무리 요약
-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은 5월 1일 ~ 5월 31일
- 홈택스/손택스로 간편 신고 가능
- 미신고 시 최대 40% 가산세 발생
- 가장 중요한 건 ‘일단 신고’입니다
반응형